광주광역시 복지플랫폼 복지통계

시설 총량분석 빅데이터

광주광역시 사회복지시설의 현황을 분야별, 유형별, 자치구별 수요대비 공급의 적정성을 파악하여
광주광역시 사회복지정책 추진의 우선순위 선정 및 공급 역량 제고 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합니다.

빅데이터를 이용한 정보수집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통계
보건복지부 장애인 등록현황,
한국사회보장정보원 사회보장통계
지방재정 365, 사회보장정보시스템 등

빅데이터
정보수집

+

사회복지시설
자료분석

사회복지시설의 세부 현황 자료 분석

광주광역시 본청 및
자치구 담당 공무원의 수집 정보

 · 자료출처 : (연구)빅데이터기반 광주광역시 사회복지시설 총량 분석(수행기관 : 광주복지연구원)
  • 광주사회복지 수요환경

    광주광역시
    전체 주민등록인구

    144만 2천명

    (2021년 11월 30일 기준)

    2016년 대비 1.8% ↓

    차트 이미지
    아동 이미지

    영유아

    45,542명

    · 지속적 감소추세

    아동 이미지

    아동

    23만 4천명

    · 7대 특별·광역시중 가장 높은 비율

    청소년 이미지

    청소년

    27만2천명

    청년 이미지

    청년

    36만 9천명

    노인 이미지

    노인

    21만 2천명

    · 지속적 증가추세

    저소득 이미지

    기초생활보장수급자

    90,839명

    · 지속적 증가추세

    · 7대 특별·광역시 중 부산 다음으로 높음

    장애인 이미지

    장애인

    69,793명

    · 장애인 연금 수급자 7.27% ↑

    · 장애수당 수급자 6.60% ↑

    정신장애인 이미지

    정신장애인

    3,163명

    · 전체 장애인중 4.53%

    한부모가족 이미지

    한부모가족

    19,107명

    · 한부모가족 수급자 0.73% ↑

    · 7대 특별·광역시 중 수급율이 가장 높음

  • 광주사회복지 사회복지 수급현황

  • 광주광역시 사회복지 공급환경 : 공공부분

    복지재정

    복지재정도

    · 지속적 감소추세

    사회복지 이미지

    사회복지비 비율

    50.89%

    · 기초생활보장분야 32.07%

    · 특별·광역시 중 부산 다음으로 높음

    계산기 이미지

    취약계층 1인당

    1천 498만원

    · 특별·광역시 중 대전 다음으로 높음

    복지인력

    담당공무원 이미지

    광주광역시 본청 및 5개자치구
    사회복지업무 담당 공무원

    1,065명

    담당공무원 이미지

    5개 자치구 행정복지센터
    사회복지업무 담당 공무원

    538명

    인력 이미지

    인구 만명당
    사회복지 전담공무원

    5.58명

    · 인구 만 명당 복지전담 공무원 5명 이상인 곳은 7대
    특별·광역시 중 광주가 유일 (2019년 기준)

    복지사업

    출산보육 이미지

    출산보육분야 사업

    영유아 보육료 지원 / 가정양육수당지원 / 누리과정 보육료 지원/어린이집 차액보육료 지원등

    청소년 이미지

    청소년복지 분야 사업

    저소득 / 위기청소년 지원사업 / 여성청소년 보건위생물품 지원/학교밖 청소년 대상 세상배움카드 지원 등

    노인 이미지

    노인복지 분야 사업

    기초연금 / 노인장기요양보험 등급을 받은 저소득층 노인대상 지원 / 경로당 관련 지원 사업등

    
																	장애인 이미지

    장애인복지 분야 사업

    장애인 생활안정 지원사업(장애인연금,장애수당 등) / 장애인 의료보장 및 보조기기 지원사업 / 장애인 일자리 지원 사업등

    여성가족 이미지

    여성가족 분야 사업

    저소득 한부모 가족 생활안정지원 사업 / 공직자 대상 양성평등 및 폭력예방 교육등의 사업

    건강 이미지

    건강 관련 사업

    암·희귀 질환자 의료비 지원사업 / 주요 만성질환 예방관리사업 / 미숙아 및 선천성 이상아 지원 사업 / 난임 극복관련 사업 등

  • 광주광역시 사회복지 공급환경 : 민간부분

  • 사회서비스 인프라 접근성

    광주광역시의 사회서비스 인프라 접근성은 광역 지자체 가운데 서울 다음으로 매우 양호한 상태
    (2020 국토모니터링 지표)


    어린이집 이미지

    어린이집

    평균 접근거리 2.46km

    · 도보이동 10분 이상 접근 가능한 인구 14.14%

    · 서울 부산에 이어 세번째로 짧음

    유치원 이미지

    유치원

    평균 접근거리 2.21km

    · 도보이동 10분 이상 접근 가능한 인구 33%

    · 서울 다음으로 짧음

    도서관 이미지

    도서관

    평균 접근거리 2.46km

    · 도보이동 10분 이상 접근 가능한 인구 76.13%

    · 전국에서 가장 높은 수준

    경로당 이미지

    경로당

    평균 접근거리 0.92km

    · 노인인구의 93.09% 10분 이내에 접근

    · 서울에 이어 두번째로 짧음

    공공체육시설 이미지

    공공체육시설

    평균 접근거리 2.06km

    · 10분 이내 접근 가능한 인구는 29.63%

    · 서울 다음으로 짧음

    공원 이미지

    생활권 공원

    평균 접근거리 2.44km

    · 10분 이내 접근 가능한 인구는 70.53%

    · 높은 수준

    사회복지관 이미지

    종합사회복지관

    차량이동 평균 접근거리 6.29km

    · 차량이동 20분 이내 접근 가능한 인구는 99.29%

    · 17개 광역 지자체중 4번째로 짧음

    노인여가복지시설 이미지

    노인여가복지시설

    차량이동 평균 접근거리 6.59km

    · 차량이동 20분 이내 접근 가능한 인구는 98.60%

    · 서울, 부산에 이어 3번째로 짧음

    공공보건기관 이미지

    보건소 등 공공보건기관

    차량이동 평균 접근거리 3.84km

    · 차량이동 20분 이내 접근 가능한 인구는 99.99%

    · 공공 보건기관 접근성 매우 높음

    응급의료 이미지

    응급의료시설

    차량이동 평균 접근거리 6.15km

    · 차량이동 20분 이내 접근 가능한 인구는 99.37%

    · 서울 다음으로 짧음.

    · 접근성 매우 높음

  • 광주광역시 사회복지 항목별 유형에 따른 비율

    광주광역시 전체 사회복지시설

    전국평균수준

    · 생활시설

    장애인단가거주시설, 정신재활시설, 한부모가족복지시설

    · 이용시설

    노인복지관, 장애인복지관

    전국평균 대비 부족한 시설

    · 생활시설

    양로시설,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중증장애인거주시설

    ? 비형평성 계수

    공급이 수요대비 고르게 분포되어 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

    사회복지시설  이미지

    광주광역시 사회복지시설 :: 생활시설 전체

    생활시설 이미지

    생활시설

    5개 자치구의 수요 대비 생활시설 분포는 형평하지 않음

    대부분의 시설 유형에서 비형평성 정도가 매우 높게 나타남 노인요양시설과 장애유형별 거주시설은 비형평성 정도가 낮음

    광주광역시 사회복지시설 :: 이용시설 전체

    이용시설 이미지

    이용시설

    분야별 이용시설의 비형평성은 생활시설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분야별로 차이가 있음

    장애인주간보호시설, 사회복지관, 자활센터는 수요대비 지역별 고른 분포를 보이고 있음

    정신재활시설 중 이용시설은 자치구간 고르게 분포되어 있지 않음

  • 사회복지시설의 비형평성계수

콘텐츠 페이지 평가 영역

현재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별점 5점 만점에 5점 결과보기 공공누리 제 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출처표시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만족도 조사결과
매우만족, 만족, 보통, 불만족, 매우불만족에 따른 만족도 조사결과 정보를 가지고 있는 테이블입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