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 사회복지시설의 현황을 분야별, 유형별, 자치구별
수요대비 공급의 적정성을 파악하여
광주광역시 사회복지정책 추진의 우선순위 선정 및 공급 역량 제고 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합니다.
빅데이터를 이용한
정보수집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통계
보건복지부 장애인 등록현황,
한국사회보장정보원
사회보장통계
지방재정 365, 사회보장정보시스템 등
+
사회복지시설의 세부 현황 자료
분석
광주광역시 본청 및
자치구 담당 공무원의 수집 정보
· 자료출처 : (연구)빅데이터기반 광주광역시 사회복지시설 총량 분석(수행기관 :
광주복지연구원)
광주광역시 사회복지시설의 현황을 분야별, 유형별, 자치구별 수요대비 공급의 적정성을 파악하여
광주광역시 사회복지정책 추진의 우선순위 선정 및 공급 역량 제고 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합니다.
빅데이터를 이용한 정보수집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통계
보건복지부 장애인 등록현황,
한국사회보장정보원 사회보장통계
지방재정 365, 사회보장정보시스템 등
+
사회복지시설의 세부 현황 자료 분석
광주광역시 본청 및
자치구 담당 공무원의 수집 정보
· 자료출처 : (연구)빅데이터기반 광주광역시 사회복지시설 총량 분석(수행기관 : 광주복지연구원)
· 시설자료 : 2019년 12월 31일 기준 · 예산자료 : 2020년 본예산서 기준
-
광주광역시
전체 주민등록인구
144만 2천명
(2021년 11월 30일 기준)
2016년 대비 1.8% ↓
아동
23만 4천명
· 7대 특별·광역시중 가장 높은 비율
기초생활보장수급자
90,839명
· 지속적 증가추세
· 7대 특별·광역시 중 부산 다음으로 높음
장애인
69,793명
· 장애인 연금 수급자 7.27% ↑
· 장애수당 수급자 6.60% ↑
정신장애인
3,163명
· 전체 장애인중 4.53%
한부모가족
19,107명
· 한부모가족 수급자 0.73% ↑
· 7대 특별·광역시 중 수급율이 가장 높음
-
광주광역시
사회복지수급자
32만 548명
(2020년 12월 31일 기준)
2016년 대비 32.19% ↑
-
사회복지비 비율
50.89%
· 기초생활보장분야 32.07%
· 특별·광역시 중 부산 다음으로 높음
취약계층 1인당
1천 498만원
· 특별·광역시 중 대전 다음으로 높음
광주광역시 본청 및 5개자치구
사회복지업무
담당 공무원
1,065명
5개 자치구 행정복지센터
사회복지업무 담당
공무원
538명
· 인구 만 명당 복지전담 공무원 5명 이상인 곳은
7대
특별·광역시 중 광주가 유일 (2019년 기준)
출산보육분야 사업
영유아 보육료 지원 / 가정양육수당지원 /
누리과정 보육료 지원/어린이집 차액보육료 지원등
청소년복지 분야 사업
저소득 / 위기청소년 지원사업 / 여성청소년
보건위생물품 지원/학교밖 청소년 대상 세상배움카드 지원 등
노인복지 분야 사업
기초연금 / 노인장기요양보험 등급을 받은 저소득층
노인대상 지원 / 경로당 관련 지원 사업등
장애인복지 분야 사업
장애인 생활안정 지원사업(장애인연금,장애수당 등)
/ 장애인 의료보장 및 보조기기 지원사업 / 장애인 일자리 지원 사업등
여성가족 분야 사업
저소득 한부모 가족 생활안정지원 사업 / 공직자
대상 양성평등 및 폭력예방 교육등의 사업
건강 관련 사업
암·희귀 질환자 의료비 지원사업 / 주요 만성질환
예방관리사업 / 미숙아 및 선천성 이상아 지원 사업 / 난임 극복관련 사업 등
-
사회복지시설
1천14개소
· 인구 십만명 당 70.31개소
· 특별·광역시 중 가장 많음
아동복지시설
379개소
· 특별·광역시 중 가장 많음
노인복지시설
404개소
· 특별·광역시 중 인천 다음 높음
· 대전 보다↓ 부산 보다↑
사회복지시설 보조금
1,931억 4,500만원
(2020년 말 기준)
사회복지시설당 180.85만원
· 2015년 대비 2020년 보조금 지원 43.40% ↑ / 사회복지시설 당 보조금 65.74% ↑
· 타 광역자치단체에 비해 후원금 증가율은 매우 낮은 편
후원금
111억원
(2020년 말 기준)
사회복지시설당 약 천만원 수준
사회복지관련기관 및 단체:사회복지관련기관 및 단체 현황에 대한 표로 지역주민,청소년,장애인,여성가족,노인,아동 및 영유아, 정신건강으로 구분하여 개소, 비율의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
지역주민 |
청소년 |
장애인 |
여성가족 |
노인 |
아동 및 영유아 |
정신건강 |
개소 |
220개소 |
148개소 |
143개소 |
128개소 |
40개소 |
32개소 |
23개소 |
비율 |
28.9% |
19.4% |
18.8% |
16.8% |
- |
- |
- |
-
광주광역시의 사회서비스 인프라 접근성은 광역 지자체 가운데 서울 다음으로 매우 양호한 상태
(2020 국토모니터링 지표)
어린이집
평균 접근거리 2.46km
· 도보이동 10분 이상 접근 가능한 인구 14.14%
· 서울 부산에 이어 세번째로 짧음
유치원
평균 접근거리 2.21km
· 도보이동 10분 이상 접근 가능한 인구 33%
· 서울 다음으로 짧음
도서관
평균 접근거리 2.46km
· 도보이동 10분 이상
접근 가능한 인구 76.13%
· 전국에서 가장 높은 수준
경로당
평균 접근거리 0.92km
· 노인인구의 93.09% 10분 이내에 접근
· 서울에 이어 두번째로 짧음
공공체육시설
평균 접근거리 2.06km
· 10분 이내 접근 가능한 인구는 29.63%
· 서울 다음으로 짧음
생활권 공원
평균 접근거리 2.44km
· 10분 이내 접근 가능한 인구는 70.53%
· 높은 수준
종합사회복지관
차량이동 평균 접근거리 6.29km
· 차량이동 20분 이내 접근 가능한 인구는 99.29%
· 17개 광역 지자체중 4번째로 짧음
노인여가복지시설
차량이동 평균 접근거리 6.59km
· 차량이동 20분 이내 접근 가능한 인구는 98.60%
· 서울, 부산에 이어 3번째로 짧음
보건소 등 공공보건기관
차량이동 평균 접근거리 3.84km
· 차량이동 20분 이내 접근 가능한 인구는 99.99%
· 공공 보건기관 접근성 매우 높음
응급의료시설
차량이동 평균 접근거리 6.15km
· 차량이동 20분 이내 접근 가능한 인구는 99.37%
· 서울 다음으로 짧음.
· 접근성 매우 높음
-
광주광역시 전체 사회복지시설
전국평균수준
· 생활시설
장애인단가거주시설, 정신재활시설,
한부모가족복지시설
전국평균 대비 부족한 시설
· 생활시설
양로시설,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중증장애인거주시설
? 비형평성 계수
공급이 수요대비 고르게 분포되어 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
광주광역시 사회복지시설 :: 생활시설 전체
생활시설
5개 자치구의 수요 대비 생활시설 분포는 형평하지
않음
대부분의 시설 유형에서 비형평성 정도가 매우 높게
나타남 노인요양시설과 장애유형별 거주시설은 비형평성 정도가 낮음
광주광역시 사회복지시설 :: 이용시설 전체
이용시설
분야별 이용시설의 비형평성은 생활시설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분야별로 차이가 있음
장애인주간보호시설, 사회복지관, 자활센터는
수요대비 지역별 고른 분포를 보이고 있음
정신재활시설 중 이용시설은 자치구간 고르게
분포되어 있지 않음
-
아동 및 청소년 관련시설
· 아동양육시설, 아동공동생활가정, 청소년쉼터,
지역아동센터 등 동구집중도↑
광주광역시 노인복지 시설 분포
노인 관련 시설
· 노인 양로시설,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노인일자리지원기관 동구집중도↑
· 노인 요양시설 광산구
집중도↑
· 노인 복지관 남구
집중도↑
광주광역시 장애인 관련 시설 분포
장애인 관련시설
장애유형별 거주시설 북구, 광산구
집중도↑
장애인복지관 동구 집중도↑
중증장애인 거주시설 동구
집중도↑
장애인주간보호시설 남구
집중도↑
장애인단기 거주시설 서구
집중도↑
장애인보호작업장과 장애인근로작업장 광산구
집중도↑
광주광역시 정신장애인 복지시설 분포
정신장애인 관련시설
정신재활시설 중 생활시설 동구
집중도↑
정신요양시설 남구에 2개시설
정신재활시설 중 이용시설 서구
집중도↑
광주광역시 한부모가족복지시설 분포
한부모가족 관련시설
한부모 가족복지시설 남구
집중도↑
사회복지관/
지역자활센터
· 사회복지관의 경우 시설수는 북구에 많으나 종사자수는
서구에 집중되어 있고, 광산구의 집중도는 낮게 나타남
· 지역자활센터는 동구에
집중되어 있고, 남구의 집중도는 낮게 나타남.
-
광주광역시
전체 주민등록인구
145만 6,468명
(2019년 12월 31일 기준)
아동(만 18세 미만)
25만 112명
· 광산구>북구>서구>남구>동구
청소년 (만9세 이상 24세 이하)
28만 8,450명
· 광산구>북구>서구>남구>동구
노인 (만65세 이상)
19만 5,479명
· 북구>서구>광산구>남구>동구
장애인
7만 177명
· 북구>광산구>서구>남구>동구
정신장애인
3,091명
· 북구>남구>서구>광산구>동구
한부모가족
2만 2,087명
· 북구>광산구>서구>남구>동구
저소득
11만 1,883명
· 북구>광산구>서구>남구>동구
-
광주광역시
복지예산
2조 2,392억원
(2020년 기준)
국비 비중
간접비
-
· 국비 비중
· 직접비/간접비
· 국비 비중
· 직접비/간접비
· 국비 비중
· 직접비/간접비
· 국비 비중
· 직접비/간접비
· 국비 비중
· 직접비/간접비
-
여성가족 일반
노숙인 관련
청소년 분야
다문화
노인, 장애인, 한부모
저소득, 지역주민 관련
사회복지일반, 출산,
아동, 청소년분야
-
아동분야 복지시설
총 356개소
· 종사자수 총 1,136명
· 북구에 가장 많이 분포 : 135개소
청소년분야 복지시설
총 6개소
· 종사자수 총 41명
· 북구에 가장 많이 분포 : 3개소
노인분야 복지시설
총 1,608개소
· 종사자수 총 5,209명
· 북구에 가장 많이 분포 : 453개소
장애인분야 복지시설
총 150개소
· 종사자수 총 1,233명
· 북구에 가장 많이 분포 : 36개소
정신장애인시설
총 16개소
· 종사자수 총 155명
· 남구,북구에 가장 많이 분포 : 각 4개소
여성·가족복지 분야 복지시설
총 38개소
· 종사자수 총 263명
지역자활센터
총 9개소
· 종사자수 총 91명
노숙인 시설
총 2개소
· 종사자수 총 30명
지역사회복지관
총 18개소
· 종사자수 총 188명
· 북구에 가장 많이 분포 : 7개소
-
영유아 복지분야 비율
· 광산구>서구>동구>남구>북구
아동복지분야 비율
·남구>북구>동구>광산구>서구
청소년복지분야 비율
· 동구>남구>서구>북구>광산구
노인 복지분야 비율
· 동구>서구>광산구>남구>북구
장애인복지(정신장애포함)분야 비율
· 남구>동구>광산구>북구>서구
한부모가족 복지분야 비율
· 남구>광산구>북구>동구>서구
저소득층 복지분야 비율
· 동구>서구>광산구>남구>북구
지역주민 복지분야 비율
· 서구>북구>남구>동구>광산구
-
광주광역시 사회복지시설
총 세입 예산
6,845억 5천만원
(2020년 기준)
사회복지시설
2,208개소
· 사회복지시설은 북구(29.6%)에 가장 많음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수
8,374명
· 종사자수는 광산구(25.58%), 북구(24.67%)에 많음
시설정원
7만 4,132명
시설이용자수
8만 1,602명
-
광주광역시 전체 사회복지시설
전국평균수준
· 생활시설
장애인단가거주시설, 정신재활시설, 한부모가족복지시설
전국평균 대비 부족한 시설
· 생활시설
양로시설,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중증장애인거주시설
? 비형평성 계수
공급이 수요대비 고르게 분포되어 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
광주광역시 사회복지시설 :: 생활시설 전체
생활시설
5개 자치구의 수요 대비 생활시설 분포는 형평하지 않음
대부분의 시설 유형에서 비형평성 정도가 매우 높게 나타남 노인요양시설과 장애유형별 거주시설은 비형평성 정도가 낮음
광주광역시 사회복지시설 :: 이용시설 전체
이용시설
분야별 이용시설의 비형평성은 생활시설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분야별로 차이가 있음
장애인주간보호시설, 사회복지관, 자활센터는 수요대비 지역별 고른 분포를 보이고 있음
정신재활시설 중 이용시설은 자치구간 고르게 분포되어 있지 않음
-
아동 및 청소년 관련시설
· 아동양육시설, 아동공동생활가정, 청소년쉼터, 지역아동센터 등 동구집중도↑
광주광역시 노인복지 시설 분포
노인 관련 시설
· 노인 양로시설,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노인일자리지원기관 동구집중도↑
· 노인 요양시설 광산구 집중도↑
· 노인 복지관 남구 집중도↑
광주광역시 장애인 관련 시설 분포
장애인 관련시설
장애유형별 거주시설 북구, 광산구 집중도↑
장애인복지관 동구 집중도↑
중증장애인 거주시설 동구 집중도↑
장애인주간보호시설 남구 집중도↑
장애인단기 거주시설 서구 집중도↑
장애인보호작업장과 장애인근로작업장 광산구 집중도↑
광주광역시 정신장애인 복지시설 분포
정신장애인 관련시설
정신재활시설 중 생활시설 동구 집중도↑
정신요양시설 남구에 2개시설
정신재활시설 중 이용시설 서구 집중도↑
광주광역시 한부모가족복지시설 분포
한부모가족 관련시설
한부모 가족복지시설 남구 집중도↑
사회복지관/
지역자활센터
· 사회복지관의 경우 시설수는 북구에 많으나 종사자수는 서구에 집중되어 있고, 광산구의 집중도는 낮게 나타남
· 지역자활센터는 동구에 집중되어 있고, 남구의 집중도는 낮게 나타남.
콘텐츠 페이지 평가 영역
현재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만족도 조사결과
매우만족, 만족, 보통, 불만족, 매우불만족에 따른 만족도 조사결과 정보를 가지고 있는 테이블입니다.
|
|
|
닫기
홈페이지 개선의견